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부동산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추세전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추세전환은 자산 가격이 기존의 추세선을 벗어나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부동산시장에서도 주택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추세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함께 부동산시장의 동향과 추세전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매시장
부동산 매매시장에서는 최근 금리상승과 주택가격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주택매매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11월 기준으로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월 대비 6.1% 감소하고 전년 동월 대비 55.0% 감소한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주택매매심리지수의 하락과도 일치합니다.

전월세시장
전월세시장에서는 금리상승으로 인해 주택매매보다는 반전세와 월세 전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11월의 전월세 거래량은 전월 대비 0.5% 감소하였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5.4%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월세 거래량 비중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분양주택 및 경매시장
미분양주택과 경매시장에서는 주택 공급부족과 경기침체로 인해 청약경쟁률이 하락하고 미분양주택 및 경매건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11월 기준으로 미분양주택은 전월 대비 22.9% 증가한 58,027호를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아파트 경매 매각가율과 매각률도 과거 금융위기 시기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부동산 공시가격
2023년에는 국토교통부가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완화하여 부동산 보유 부담을 완화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2023년 공시가격은 2022년말 시세와 2023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곱한 값으로 산정될 예정입니다.
현실화율은 표준단독주택이 53.5%, 토지(표준지)가 65.4%, 공동주택이 69.5%로 예상되며, 이는 2022년 현실화율보다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동산시장에서의 추세전환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입니다.
주택매매시장, 전월세시장, 미분양주택 및 경매시장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2023년 공시가격에 대한 전망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부동산시장의 변화에 주목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은어] 이부망천: 서울과 지방 부동산 시장의 격차와 논란 (0) | 2023.07.26 |
---|---|
가족 간 부동산 저가 양도의 세액 비교와 세무상 리스크 (0) | 2023.07.26 |
부동산 투자수요와 투기수요, 그리고 유보수요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7.25 |
부동산 폭등: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이유와 대응 방안은? (0) | 2023.07.25 |
부동산 시장 폭락에 대한 전문가들의 예측과 이유 (0) | 2023.07.25 |